2008.12.07 13:24

이 언덕길을

조회 수 3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 언덕길을

찬 겨울이 오면 농민들은 아스팔트위에 농사를 짓습니다. 도청이나  군청 앞에서 나락을 노상에 적재해 놓고 농산물 값 보장을 목이 터지라고 외치는 농촌의 현실을 그렇게 표현하는 거지요. 오늘은 전국의 농민들이 서울 여의도로 모였습니다. 여의도 국회 앞 겨울의 맵짠 바람은 올해도 여전하기만 합니다. 벼랑 끝까지 내 몰린 화난 농심 속으로 함평의 농민들과 함께 나도 젖어 들어갑니다.

농민이 농사를 못 지으면 뭐하고 살지요?
미래가 없는 농민들이 스스로 농사짓는 일을 포기해야 하나요?
그러면 누가 농사를 짓나요?
우리 농산물이 없으면 외국산을 아무 것이나 사먹기만 하면 되나요?    
결국 농사가 없는 나라가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모든 농민들이 해체되고 대기업이 농사짓는 나라가 되는 것인가요?
도대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말이라도 해줄 수는 없는가요?
아무런 대안도 없는 이 땅이 정녕 우리나라이고 우리는 이 나라의 주인인 것이 맞긴 맞는가요?

답답한 마음으로 쳐다보는 눈망울에 농민들이 입고 있는 옷들이 서럽게 박혀 옵니다. 붉은 쌀 포대를 잘라내서 거꾸로 뒤집어 쓴 모습이 화난 농심을 시리도록 표현하고 있네요. 가파른 언덕길을 사력을 다해 넘어와서 보니 다시 벼랑 끝에 서 있는 자신들의 모습입니다. 오늘 여기서 만큼은 최고의 패션입니다. 그 어떤 유명 디자이너가 만들어 낸  유행복이라 해도 이보다 아름다울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언덕길을
피할 수 없다면 멈출 수도 없다면
어찌해야 할까요 ]

800*550

*인생의 길에 피해가야 할 게 너무 많습니다
때론 피할 수도 멈출 수도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깨지더라도 온 몸으로 부딪침을 즐기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있다면 배우고 싶습니다

전체구도는 언덕길을 형상화하고 <길>자를 강조해 보았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강정 종화 2012.10.14 58
121 똑같다 종화 2012.11.30 61
120 박종화의 시서화음 - 한글소나무 (텀블벅 진행중) file [종화] 2022.08.08 65
119 나무가 되리 종화 2012.12.11 80
118 선생님의 바다여 file 종화 2014.04.07 87
117 file 종화 2013.10.06 93
116 우리의 영원한 벗 신은정을 떠나 보내며 관리자 2012.11.10 98
115 팽목항에 가면 종화 2014.05.08 100
114 삼촌 종화 2002.10.01 105
113 모르고 있다 종화 2002.10.01 106
112 노신사는 경거망동 하지 말아야 한다 종화 2012.07.03 110
111 절벽에도 꽃은 피고 file 종화 2013.02.01 114
110 우리가 왔습니다 종화 2002.10.01 118
109 낙관의 괴력 관리자 2011.09.06 127
108 통일운동가 문재룡선생 1주기추모에.... 종화 2003.08.29 132
107 눈치보는 사람들의 시는 종화 2002.10.01 137
106 현실 종화 2010.12.28 138
105 삶이 초라해 진다 종화 2002.10.01 142
104 천지를 내려다 본 순간 종화 2002.09.06 144
103 독불장군은 없다 종화 2002.09.06 1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