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btn

글 제목

Header Logo

음원 사이트 PLSong의

멤버가 되어 주세요!

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96, A213 YR-05호

Tel : 070-7954-2678 / Fax : 050-8956-8781 / Mobile : 010-9619-7265

Email : plsong.com@gmail.com

후원계좌 : 카카오뱅크 7979-72-33525 예금주 김기성

민중가요사료관 추진단 PLSong.com 2024년 보고 및 2025년 계획

지난해 12월 3일 이후, 한국 사회는 누구에게도 쉽지 않은 시간이었습니다.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결산보고가 다소 늦어진 점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1.  2024년 결산보고
2024년에는 후원회원이 확대되면서 총 12,656,700원의 수입과 7,113,980원의 지출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5,542,720원을 2025년 회계로 이월하게 되었습니다.
2025년 3월 기준, 정기 후원은 총 89만 원(CMS 83만 원, 1회성 후원 6만 원)입니다.
이는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월 500만 원 대비 17.8%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점진적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주요 경과 보고
(1) 서울민예총 탈퇴 및 독립 결정
올해 가장 아쉬운 점은 민중가요사료관이 서울민예총을 탈퇴하게 된 일입니다.
민중가요사료관은 2021년 서울민예총 음악위원회 산하 추진기구로 시작하여 2023년 부설기관으로 공식 출범했으나, 서울민예총 내부에서 "민중가요 아카이브 사업은 지역단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상호 협의 끝에 2025년 1월 1일부로 관계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일부 단체의 부설기관 합류 제안도 있었으나, 장기적 안정을 위해 독립조직화를 선택했습니다.
현재는 '민중가요사료관 추진단 PLSong.com'이라는 임시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정식 명칭은 추후 확정할 예정입니다.


3. 2025년 사업계획
(1) 독립조직화 추진
2025년에는 사단법인 또는 사회적협동조합 형태로 독립조직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기존에는 ‘민지네 피엘쏭’(민중가요 지원 네트워크 피엘쏭) 고유번호증을 바탕으로 운영해왔으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기반 마련을 위해 사단법인 설립을 우선 검토하고 있습니다.
사단법인은 공익적 이미지가 강하고, 요건 충족 시 기부금 영수증 발급이 가능해 장기적 운영에 유리합니다. 다만 약 5,000만 원 이상의 출연재산과 100명 이상의 회원 확보라는 부담이 존재합니다.
사단법인 설립이 어려울 경우, 사회적협동조합 설립으로 전환할 예정이며, 전문 행정사와 함께 신중히 준비 중입니다.


(2)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단순한 자료 수집을 넘어 스캔 및 음원 디지털화 등 자료변환 작업을 통해 체계적인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성공회대학교 내에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자료와 장비를 옮겨 정비 중입니다. 정비가 완료되는 대로 본격적인 작업을 재개할 예정입니다.
또한, 주 8시간 정도 자료 변환을 담당할 아르바이트 인력을 채용할 계획입니다. 월 40~50만 원의 고정비용이 발생하지만, 필요불가결한 투자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3) 문화일정 메일링 서비스 개발
PLSong.com의 문화일정 메뉴(https://plsong.com/new/event-schedule.php)는 누구나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면 직접 일정을 등록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일정 등록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등록은 관리자의 승인을 거쳐 게시됩니다.
단, 인증된 활동가(노래패, 민중가요 가수 등)의 경우, 별도 승인 없이 즉시 게시가 가능합니다.
일정을 등록할 때 두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LSong.com자체 페이지에 공연 상세 내용을 직접 게시하는 방법과 공연 홍보 페이지(블로그, SNS 등) 링크만 등록하여 외부 사이트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추가로, 공연 일정 등록 시 신청한 이용자에게 정기적으로 공연정보를 메일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민중가요 관련 공연 및 행사 정보가 보다 활발하게 공유되어, 공동체 네트워크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4) 참여형 디지털 민중가요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민중가요 향유의 핵심 주체였던 노래패를 포함한 수용자층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 시스템은 과거 노래패 활동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자료를 직접 입력하고 공유하는 집단지성 기반 플랫폼으로, 민중가요 수용역사의 풍성한 복원에 기여할 것입니다.
현재 대학 노래패만 315개가 확인되었으며, 노동자, 농민, 사회노래패까지 포함하면 수천 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의 소중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해 나가고자 합니다.
2023년 11월 30일 작은 심포지엄 이후, 불과 사흘 만에 계엄사태가 발생하고 4개월간 광장의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번에는 2016년과 달리 민중가요가 자연스럽게 호명되고 다양한 민중가요가 집회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불렸습니다.
또한 대중가요가 시위용 노래로 활용되는 현상도 목격되었는데, 이는 민중가요와 대중문화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민중가요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자료 정리는 여전히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비록 천천히 진행될지라도, 반드시 민중가요사료관을 구축하여 민중가요의 역사와 가치를 미래 세대에 전달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민중가요사료관 추진단 PLSong.com Dream